정종 (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종은 조선의 제2대 국왕으로,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왜구 토벌 등 군사 활동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며, 이성계의 조선 건국 후 영안군에 책봉되었다.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왕세자가 되었고, 태조의 양위로 즉위했으나, 제2차 왕자의 난을 겪은 후 동생 태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재위 기간 동안 개성 천도, 집현전 설치, 사병 혁파 등 정책을 시행했으며, 1419년에 사망하여 후릉에 묻혔다. 사후 250여 년 뒤 묘호 정종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57년 출생 - 권진
권진은 안동 권씨 권희정의 아들이자 독수와라는 호를 가진 인물로, 김황과의 사이에서 1남 2녀를 두었다. - 1357년 출생 - 이반 미하일로비치
이반 미하일로비치는 1400년부터 1425년까지 트베리 공국의 대공으로 재위하며 카신 분령 갈등, 리투아니아와의 동맹, 모스크바와의 관계 개선 등 외교적 행보를 보였으나 흑사병으로 사망하여 트베리 대공국이 약화되었다. - 1419년 사망 - 길재
길재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유학자이자 문신으로, 삼은 중 한 명이며 성리학적 학문을 실천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으나 조선 건국 후 관직을 거절하며 사림파 학통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야은집』 저술 및 청백리에 선정되었다. - 1419년 사망 - 바츨라프 4세
바츨라프 4세는 카를 4세의 아들로 보헤미아 왕이자 신성 로마 제국의 왕이었으나, 귀족과의 갈등, 전쟁, 종교적 분열로 불안정한 통치를 했고 얀 후스 처형 후 보헤미아는 후스 전쟁에 돌입했으며 그는 혼란 속에서 사망했지만 체코 내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 15세기 한국의 군주 - 성종 (조선)
성종은 조선의 제9대 국왕으로, 세조의 손자이자 덕종의 아들이며 예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정희왕후의 수렴청정을 거쳐 친정 후 홍문관 설치, 경국대전 반포 등 조선의 통치 체제 확립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폐비 윤씨 사사 사건과 서얼 차별 강화는 비판받기도 한다. - 15세기 한국의 군주 - 세조 (조선)
세조는 조선의 제7대 왕으로서,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올라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육조직계제를 실시하고 경국대전 편찬을 시작하는 등 강력한 중앙집권 정책을 추진했다.
정종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조선의 상왕 |
재위 | 1400년 11월 13일 ~ 1419년 9월 26일 (음력) |
목록 | 제2대 조선 국왕 |
재위 | 1398년 9월 5일 ~ 1400년 11월 20일 (음력) |
휘 | 방과(芳果) → 경(曔) |
별호 | 공정왕(恭精王), 영안군(永安君) |
묘호 | 정종(定宗) |
시호 | 공정의문장무온인순효대왕(恭靖懿文莊武溫仁順孝大王) |
능호 | 후릉(厚陵) |
출생일 | 1357년 8월 12일 (양력) |
출생지 | 고려 동북면 귀주 사제 |
사망일 | 1419년 10월 24일 (양력)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인덕궁 |
아버지 | 태조 |
어머니 | 신의왕후 한씨 |
배우자 | 정안왕후 김씨 |
자녀 | 15남 8녀 |
통치 정보 | |
즉위식 | 경복궁 근정전 |
이전 통치자 | 태조 |
이후 통치자 | 태종 |
섭정 | 정안대군 (1398–1400) |
왕세자 정보 | |
작위 | 조선국 왕세자 |
재위 | 1398년 8월 26일 ~ 1398년 9월 5일 (음력) |
이전 | 폐세자 방석 (의안대군) |
이후 | 왕세자 방원 (태종) |
군사 정보 | |
군 복무 | 조선 의흥삼군부, 고려 도평의사사 |
복무 기간 | 1376년 ~ 1398년 |
계급 | 중군 절제사(中軍 節制使) |
지휘 | 조선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 태조 친위부대) 조선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 중군(中軍, 친위부대, 경기좌우도 및 동북면 관할) |
참전 | 전기 왜구 토벌 전라도 지리산(1377, 21세) 황해도 해주(1389) 양광도 영주 도고산(1390) 황해도 문화현(1393) 평안도 영녕현(1393) |
칭호 | |
즉위 전 칭호 | 영안군(永安君) |
개인 정보 | |
본관 | 전주 이씨 |
종교 | 한국 불교 → 한국 유교 (성리학)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정안왕후 김씨 (1412년 사망) |
자녀 | 15남, 8녀 (자세한 내용...) |
아버지 | 태조 |
어머니 | 신의왕후 |
사후 정보 | |
시호 (조선) | 공정의문장무온인순효대왕 () |
시호 (명나라) | 공정 () |
묘호 | 정종 () |
이름 | |
휘 | 이방과 () → 이경 () |
자 | 광원 () |
재위 기간 | |
재위 유형 | 재임 |
기간 | 1398년 9월 5일 – 1400년 11월 13일 |
이전 통치자 | 태조 |
이후 통치자 | 태종 |
섭정 | 정안군 (1398–1400) |
즉위식 | 근정전 홀, 한성 |
상왕 재위 기간 | |
재위 유형 | 재임 |
기간 | 1400년 11월 13일 – 1419년 9월 26일 |
비고 | 세종이 1418년에 왕위에 오른 후 정종은 그의 남동생 태종과 구별하기 위해 '노상왕'으로 알려짐. |
출생 및 사망 | |
출생일 | 1357년 7월 1일 |
출생지 | 함흥 함경도 |
사망일 | 1419년 9월 26일 |
사망지 | 인덕궁, 한성 |
매장지 | 후릉, 개성, 황해북도 |
시대 이름 | |
시대 이름 | 홍무 (): 1398 |
건문 | 건문 () |
기간 | 1399–1400 |
2. 생애
1357년(공민왕 6년) 음력 7월 1일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난 정종은 성품이 온화하고 용맹하며 지략이 뛰어났다. 아버지를 도와 여러 전쟁에 참여하여 왜구 토벌 등에 공을 세웠으며, 1392년 아버지가 왕위에 오르자 왕자가 되었다.[1]
태조에게는 신의왕후와 신덕왕후 두 명의 부인이 있었는데, 정도전 등은 신덕왕후의 막내 아들을 후계자로 지지하여 다른 왕자들의 원망을 샀다. 1398년, 이방원이 쿠데타를 일으켜 이복 동생들과 정도전 등을 제거하고 이방과(정종)를 왕세자로 추대하자, 태조는 양위하였다.[1] 같은 해 정부는 개성으로 천도하였다.
1400년, 이방원과 이방간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여 이방원이 승리하였다. 정종은 이방원을 왕세자로 임명하고 몇 달 후 양위하였다.[1] 정종은 재위 기간이 짧았지만, 유능하고 현명한 행정가였다. 그는 이방원의 영향력 아래에서 권력자들의 사병을 해체하고 군사권을 의흥삼군부에 집중시켰으며, 수도를 개성으로 다시 옮겼다.
상왕으로 물러난 정종은 인덕궁에서 격구, 사냥, 온천, 연회 등을 즐기며 유유자적한 생활을 보냈으며, 1419년(세종 원년) 음력 9월 26일에 63세로 사망하여 개성에 있는 후릉에 묻혔다.
조선에서는 정종을 과도기 집권자로 여겨 "공정대왕"이라고 불렀으나, 1681년(숙종 7년) 12월에 이르러 정종이라는 묘호를 받았다.
2. 1. 초기 생애 및 군사 활동
1357년 7월 18일(음력 7월 1일)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성품이 온화하고 용맹하며 지략이 뛰어나 아버지 이성계를 도와 여러 전쟁에 참여하여 왜구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다.[12]우왕 시대에는 왜구의 침입이 14년간 378회, 즉 14일 간격으로 침입할 정도로 극심했다. 1377년(21세) 음력 5월에는 이성계를 따라 지리산까지 진출한 왜구를 물리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기록에 따르면, 이때부터 1398년 국왕 즉위까지 약 21년 동안 왜구 토벌 등 전쟁터를 누볐다.
아버지 이성계를 따라 왜구를 토벌한 공으로 추충여절익위공신(推忠礪節翊衛功臣)에 책록되고, 봉익대부 지밀직사사 겸 군부판서(奉翊大夫 知密直司事兼軍簿判書), 응양군상호군(鷹揚軍上護軍)을 역임하였다. 고려 말, 정종은 아버지 이성계를 따라 여러 전선에서 함께 싸웠으며, 1392년 아버지가 왕위에 오르자 왕자가 되었다.[1]
2. 2. 정치 참여와 조선 개국
고려 말, 원나라가 쇠퇴하자 공민왕은 반원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권문세족의 반발과 신돈 정권의 실패로 개혁은 좌절되었다. 이 시기, 고려는 권문세족의 횡포와 왜구의 침략으로 국가적 위기에 처해 있었다.1386년, 정종은 순군만호부의 부만호가 되어 이인임 등 친원파를 축출하는 데 기여했다.[13] 1392년, 아버지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영안군'''(永安君)에 책봉되고, 의흥친군위 절제사에 임명되었다.
조선 건국 초기, 왜구의 침입과 명나라의 압박이 계속되는 가운데, 1393년 영안군 이방과는 문화현과 영녕현에서 왜구를 물리쳐 공을 세웠다.
1395년, 태조가 의흥삼군부를 개편하면서 영안군 이방과는 중군절제사(中軍節制使)에 임명되어 병권을 맡게 되었다. 이는 정도전, 남은 등이 요동 정벌을 주장한 데 따른 조치였다.
2. 3. 즉위와 치세
태조 7년 (1398년), 음력 8월에 동생 정안군이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 본래 왕위에 뜻이 없었던 영안군은 왕세자가 되기를 극구 사양하였으나, 태조의 장자 진안대군(鎭安大君)은 이미 사망하였기 때문에 왕세자에 책봉되었다. 이후 1개월 뒤인 1398년 음력 9월, 태조의 양위로 경복궁 근정전에서 조선 제2대 국왕으로 등극하였다.[1] 정종은 우왕 3년 (1377년)부터 21년 동안 전쟁터를 누빈 군인 출신이며, 일찍이 정안군(태종)이 창업 대의에 가장 열정적이었던 것을 인정하였다. 또한 직접적으로 동생 정안군(태종)이 왕위에 오를 것을 추천하는 등 왕위에 관한 관심은 없었다고 전해진다.정종 원년 (1399년)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 3월: 한양에서 개성으로 천도하였다.
- 집현전을 설치하여 경적(經籍)의 강론을 담당케 하였다.[14]
- 5월: 태조 때 완성된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을 간행하였다.
- 8월: 분경금지법(奔競禁止法)을 제정하여 관인들이 권세가에 청탁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 11월: 법전을 정비하기 위하여 ‘조례상정도감(條例詳定都監)’을 설치하였다.
정종 2년 (1400년)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 2월: 제2차 왕자의 난을 계기로 정안공을 왕세자로 책봉하였다.
- 4월: 사병(私兵)을 혁파하여 군사권을 의흥삼군부로 집중시켰다.
-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 → 의정부(議政府, 최고정무기구)로, 중추원(中樞院) → 삼군부(三軍府, 군무)와 승정원(承政院, 정무:왕명출납 등)으로 분리, 개편하였다.
- 6월: 노비변정도감(奴婢辨正都監)을 설치하여 고려 말 억울하게 노비가 된 사람들을 양인으로 환원시켰다.
정종은 재위 기간이 짧았고 왕족 내의 유혈 사태로 점철되었지만, 유능하고 현명한 행정가였다.
2. 4. 양위와 상왕 시절
정종 2년 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동생 정안공을 왕세자로 책봉하고[15] 음력 11월 13일에 왕세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맏형으로서 남아있는 형제들간의 반목을 일소하고 정치를 안정시키기 위한 선택이었으며, 재위 중에는 형제간의 친목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회안대군을 탄핵하기 위해 삼성(三省)이 논의하려 할 때, 동모제(친동생)의 형친(형제)의 정으로서 논의를 미연에 차단 금지시켰다. 이후 상왕으로 물러난 정종은 인덕궁에서 거주하면서 사냥과 격구, 연회, 온천여행 등으로 세월을 보내다 세종 1년 음력 9월 26일에 63세의 나이로 승하하였다.2. 5. 죽음과 묘호
사망한 뒤[16] 국상을 치를 때에도 왕의 국상은 후대왕이 상주가 되어야 하는 원칙[17]에서 벗어나 왕위계승자인 정안군(→태종)이 아닌 장자(長子)인 의평군 이원생(義平君 李元生)이 섭상주(攝喪主:대리상주)가 되었다.[18][19]조선 조정에서는 바로 온인 공용 순효 대왕(溫仁恭勇順孝大王)이라는 시호를 올렸고 순효대왕이라고 불렀다가 명나라에서 공정이라는 시호를 올려 가져오자 공(恭)자가 두번 들어간다고 시호에서 공용(恭勇) 두 글자를 빼버렸다.[20] 이때부터는 묘호 없이 '''공정 온인 순효 대왕(恭靖溫仁順孝大王)''', 짧게 '''공정대왕(恭靖大王)'''이라 불렸다.
'''정종'''(定宗)이라는 묘호는 사후 250여년 후인 1681년(숙종 7년), 제6대 단종과 함께 정해졌다. 정종(定宗)의 의미는 '태조의 업적을 계승하여 정국을 잘 다스렸으며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크게 염려하였다'는 뜻이다.
정종은 1419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부인인 정안왕후와 함께 현재 판문구역에 있는 후릉에 묻혔다. 상왕으로 물러난 정종은 인덕궁에서 격구·사냥·온천·연회 등의 오락으로 유유자적한 생활을 보냈으며, 세종 원년(1419년) 9월 26일에 63세로 훙거했다. 어릉은 개성에 있는 후릉이다.
2년의 짧은 치세 동안 실질적인 권한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조선에서는 정종을 과도기 집권자로 여겨 "공정대왕"이라고 불렀으나, 262년이 지난 숙종 7년(1681년) 12월에 이르러 정종이라는 묘호를 받았다.
3. 능묘
황해도 개풍군 흥교리에 후릉이 있다.[21] 강화도 북쪽 예성강 맞은편에 있다. 후대 왕릉과는 달리 후릉(정종과 정안왕후), 제릉(신의왕후), 후궁 성빈 지씨의 능은 북한 지역에 있어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에서는 제외되었다.
4. 가족 관계
구분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아버지 | 태조 | 1335년 ~ 1408년 | 조선의 초대 왕 |
어머니 | 신의왕후 한씨 | 1337년 ~ 1391년 | 조선 건국 전 사망, 왕후로 추존 |
정비 | 정안왕후 김씨 | 1355년 ~ 1412년 | 자녀 없음 |
후궁 | 성빈 지씨 | ? ~ ? | 덕천군, 도평군 등의 어머니 |
후궁 | 숙의 지씨 | ? ~ ? | 의평군, 선성군, 임성군, 함양옹주의 어머니 |
후궁 | 숙의 기씨 | ? ~ 1457년 | 순평군, 금평군, 정석군, 무림군, 숙신옹주, 고성옹주, 상원옹주, 전산옹주의 어머니 |
후궁 | 숙의 문씨 | ? ~ ? | 종의군의 어머니 |
후궁 | 숙의 윤씨 | 1368년 ~ ? | 수도군, 임언군, 석보군, 장천군, 인천옹주, 함안옹주의 어머니 |
후궁 | 숙의 이씨 | ? ~ 1443년 | 진남군의 어머니 |
후궁 | 가의궁주 유씨 | ? ~ ? | 이불노, 덕천옹주의 어머니 |
후궁 | 초궁장 | ? ~ ? | 자녀 없음, 기생 출신 |
후궁 | 기매 | ? ~ ? | 이지운의 어머니, 간통 사건으로 쫓겨남 |
- 아들
순서 | 작호 | 이름 | 생몰년 | 생모 | 비고 |
---|---|---|---|---|---|
1 | 의평군 | 원생 | 1391년 ~ 1461년 | 숙의 지씨 | |
2 | 순평군 | 군생 | 1392년 ~ 1456년 | 숙의 기씨 | |
3 | 금평군 | 의생 | ? ~ 1435년 | 숙의 기씨 | |
4 | 선성군 | 무생 | 1392년 ~ 1460년 | 숙의 지씨 | |
5 | 종의군 | 귀생 | 1393년 ~ 1451년 | 숙의 문씨 | |
6 | 진남군 | 종생 | 1406년 ~ 1470년 | 숙의 이씨 | |
7 | 수도군 | 덕생 | ? ~ 1449년 | 숙의 윤씨 | |
8 | 임언군 | 녹생 | ? ~ 1450년 | 숙의 윤씨 | |
9 | 석보군 | 복생 | ? ~ ? | 숙의 윤씨 | |
10 | 덕천군 | 후생 | 1397년 ~ 1465년 | 성빈 지씨 | |
11 | 임성군 | 호생 | ? ~ ? | 숙의 지씨 | |
12 | 도평군 | 말생 | ? ~ ? | 성빈 지씨 | |
13 | 장천군 | 보생 | ? ~ ? | 숙의 윤씨 | |
14 | 정석군 | 융생 | 1409년 ~ 1464년 | 숙의 기씨 | |
15 | 무림군 | 선생 | 1419년 ~ 1475년 | 숙의 기씨 | |
16 | 불노 | 1388년 ~ 1410년 | 가의궁주 유씨 | 정종이 친자 관계를 부정[5] | |
17 | 지운 | 1394년 ~ ? | 기매 | 정종이 친자 관계를 부정[8] |
- 딸
순서 | 작호 | 생몰년 | 생모 | 부마 |
---|---|---|---|---|
1 | 함양옹주 | ? ~ ? | 숙의 지씨 | 밀녕위 박갱 |
2 | 숙신옹주 | ? ~ ? | 숙의 기씨 | 양평공 김세민 |
3 | 덕천옹주 | ? ~ ? | 미상 | 강릉부사 변상복 |
4 | 고성옹주 | ? ~ ? | 미상 | 호평공 김한 |
5 | 상원옹주 | ? ~ ? | 숙의 기씨 | 사직 조효산 |
6 | 전산옹주 | ? ~ ? | 미상 | 사직 이희종 |
7 | 인천옹주 | ? ~ ? | 숙의 윤씨 | 소윤 이관식 |
8 | 함안옹주 | ? ~ ? | 미상 | 월림군 이항신 |
5. 정종이 등장하는 작품
정종이 등장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
; 드라마
- 1983년 KBS 드라마 《개국》 (배우: 남성식)
- 1983년 MBC 드라마 《추동궁 마마》 (배우: 이영후)
- 1996년~1998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 (배우: 태민영)
- 2008년 KBS 드라마 《대왕 세종》 (배우: 노영국)
- 2012년~2013년 SBS 드라마 《대풍수》 (배우: 오희준)
- 2014년 KBS1 드라마 《정도전》 (배우: 이태림)
- 2015년~2016년 SBS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배우: 서동원)
- 2021년 KBS1 드라마 《태종 이방원》 (배우: 김명수)
; 소설
- 박종화 작, 《세종대왕》 (1969-1977년)
- 사비란 작, 《연못에 피어난 혈화 - 송경별곡》 (네이버 웹 소설, 2016-2018년)
5. 1. 드라마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우 |
---|---|---|---|
1978년 | MBC | 연지 | 박광남[27] |
1983년 | KBS | 개국 | 남성식 |
1983년 | MBC | 추동궁 마마 | 이영후 |
1996년~1998년 | KBS | 용의 눈물 | 태민영 |
2008년 | KBS | 대왕 세종 | 노영국 |
2012년 | SBS | 대풍수 | 오희준 |
2014년 | KBS | 정도전 | 이태림 |
2015년 | SBS | 육룡이 나르샤 | 서동원 |
2021년 | KBS | 태종 이방원 | 김명수 |
참조
[1]
뉴스
KBS can't resist another telling of King Taejong's tale
https://koreajoongan[...]
2022-01-16
[2]
서적
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1452-08-21
[3]
서적
조선왕조실록 문종실록
1452-08-06
[4]
서적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1396-11-07
[5]
뉴스
[여적]‘비운의 프린스’ 김정남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7-02-16
[6]
서적
조선왕조실록 태종실록
1419-10-27
[7]
서적
조선왕조실록 태종실록
1427-08-08
[8]
서적
조선왕조실록
[9]
서적
조선왕조실록 태종실록
1425-05-13
[10]
뉴스
「왕위」독점한「수사본부」팀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78-11-21
[11]
웹사이트
조선왕조 500년 추동궁 마마 출연
https://search.daum.[...]
2019-09-11
[12]
문서
임진왜란
[13]
문서
이인임
[14]
문서
경적
[15]
서적
조선왕조실록 정종실록
http://sillok.histor[...]
1400-02-04
[16]
서적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http://sillok.histor[...]
1419-09-26
[17]
문서
조선왕실의궤
[18]
서적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http://sillok.histor[...]
1419-09-26
[19]
서적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http://sillok.histor[...]
1419-09-27
[20]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17-06-25
[21]
문서
조선시대 왕족의 무덤
[22]
서적
세조실록
1457-06-13
[23]
서적
세종실록
1443-10-02
[24]
이미지
璿源系譜
http://royal.kostma.[...]
2014-06-24
[25]
문서
정몽주
[26]
문서
이종무
[27]
뉴스
왕위 독점한 수사본부 팀
http://newslibrary.n[...]
1978-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